수출입 통계 정보확인 방법
프롤로그
이번 시간에는 수출입 통계 확인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무역지표를 확인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항목이 수출과 수입이라는 것이다. ‘무역’이라는 의미가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물품이나 서비스 등을 사고파는 것이고, 우리나라에서 만든 것을 다른 나라에 파는 것을 ‘수출’, 다른 나라에서 만든 것을 우리나라로 사 오는 것을 ‘수입’이라고 한다. 수출을 하면 외국으로부터 돈을 벌어들이는 개념, 수입을 하면 물건을 산 대가로 외국에 돈을 주는 개념이기 때문에 언뜻 생각해보면 수출이 많으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무역이라는 개념이 국가간의 물품과 용역을 주고받는 개념이기 때문에 수출이 있다면 수입도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 자체를 A라는 국가에서 생산한다고 가정했을 때, 그 안에 들어가는 부품들은 B, C, D… 이런 식으로 많은 나라에서 수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부품 생산 기술을 특정 국가의 기업에서만 가진 경우도 있을 것이고, 국내에서 조달하는 것보다 해외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더 저렴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렇듯 무역이라는 개념은 국가간의 기술수준과 구매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최적의 조건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났다. 그렇게 국가간 교역을 통해서 전세계는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이다. 그렇다면 이런 무역에 대한 통계를 확인하는 방법은 어떻게 될까? 지금부터 함께 확인해보도록 하자.

수출입 통계(무역통계)란?
수출입 무역통계란 국민경제가 다른 나라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화물의 교류에 관한 통계를 의미한다. (이하 수출입 통계라고 칭한다.) 한 나라의 경제영역으로 반입(수입)되거나 반출(수출)됨으로써 그 나라의 물적 자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모든 상품이 기록되며, 단순히 한 나라를 통과하는 물품(통과물품)이나 일시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는 물품은 그 나라의 물적 자원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출입 통계(무역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수출입 통계 확인방법
수출입 통계는 통계청의 수출입 무역통계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통계청 수출입 무역통계 : https://tradedata.go.kr/
홈페이지 화면에서 확인가능한 사항들
사이트에 접속하며 홈페이지 화면에서 수출입 확정통계 내역을 볼 수 있다. 사이트의 홈페이지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계내역을 하나씩 살펴보자.
1.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진행된 무역량은 수출 519억달러, 수입 510억달러로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8.3% 감소,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22.8%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2023년 8월 한 달간 가리비(냉동)의 가격은 kg당 14,050원으로 전년 동월대비 34.3%가 증가했다.
3. 2023년 8월 일본에서의 항공 수입 운송비용은 kg당 2,214원으로 전월대비 kg당 142원 감소했다.
4. 2023년 9월 원유 평균 수입가격은 배럴당 89.4달러로 전년동월대비 0.2% 감소했다.
이렇게 수출입과 관련된 전반적인 통계항목 확인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항목별 수출입 통계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수출입 통계 확인방법
수출입통계 > 수출입총괄의 경로로 들어가면 수출입 총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조회기간을 (연도별/월별)로 지정한 후, 통계기준을 (수리일/출항일) 중 한 가지 선택, 중량단위를 (톤/kg)으로 선택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기간의 수출입 총괄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통계/막대그래프/라인그래프/파이그래프의 형태로 출력이 가능하며, 수출과 수입 각각에 대한 건수, 중량, 금액에 대한 내용과 무역수지까지 한 눈에 확인 가능하다.
10대 수출입 통계 확인방법
테마별 무역통계 > 10대 수출입통계 > 품목/국가를 선택하면 품목이나 수출입 국가별로 10대 수출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통계항목 (품목별/국가별), 수출입구분 (수출/수입), 순위 (10대/20대), 품목단위 (HS2단위/HS4단위), 조회기간 (연도별/월별), 중량단위 (톤/kg)에 대한 내용을 각각 설정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조회기간의 10대 혹은 20대 내역을 볼 수 있다.
테마별 무역통계 > 10대 수출입통계 > 무역수지를 선택하면 무역수지에 대한 10대 수출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통계항목 (품목별/국가별), 흑자/적자구분 (흑자/적자), 순위 (10대/20대), 품목단위 (HS2단위/HS4단위), 조회기간 (연도별/월별)을 선택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조회기간의 10대 혹은 20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수출입 물류통계 확인방법
수출입물류통계 > 총괄의 경로로 들어가면 수출입 물류통계에 대한 총괄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운송구분 (전체/해상/항공), 입출항구분 (전체/입항/출항), B/L유형구분 (전체/일반/특송), 조회기간 (연도별/월별), 중량단위 (톤/kg)에 대한 항목을 설정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수출입 물류통계에 대한 총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관련 정보 검색하는 방법
위치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해주는 사이트도 있으니, 통계정보 외에 아래 내용도 확인해보시길 바란다.
공장 정보 찾는 방법(사이트) : 아이팩토리허브
위치 정보 찾는 방법(사이트) : 오딘데
에필로그
10대 수출입 통계 등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무역정보를 이번시간을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터득하셨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