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확인방법 2가지

이번 시간에는 미세먼지 확인방법 2가지에 대한 내용을 다뤄볼까 한다. 삶의 질 척도에서 환경적인 영향이 크지 않았을 때에는 공기의 상태가 중요한 요소가 아니었지만, 우리의 건강을 생각하는 현 시점에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오존, 황사와 같은 요소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코로나 시기를 거쳐 다시 마스크를 벗게 되면서 다시금 미세먼지의 영항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고, 따라서 그에 대한 다양한 정보습득은 현대인들에게 필수적인 삶의 요소가 된 것 같다.

영국에서 스모그라고 하는 안개와 도시의 매연이 만연했던 때가 있었지만, 그건 교과서에서나 배울법한 내용이었지, 우리에게 공기에 대한 오염도는 기껏해야 ‘황사’ 정도밖에는 고려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의식수준이 높아짐과 동시에 중국의 경제성장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굴뚝에서 발생하는 공기오염이 우리나라로 도달하는 것과 그에 대한 대비책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난감한 시대가 된 것이다.

전세계의 수많은 공산품들이 중국으로부터 비롯됨을 고려해보면 중국의 공장들이 얼마나 많고, 또한 공기정화시설이 갖추어지기 전의 시설에서 나오는 매연이 얼마나 나쁜 것인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을 타고 우리 나라로 날아오는 저질의 공기는 대한민국의 삶을 좋지 못한 방향으로 이끌기도 한다. 물론 모든 나쁜 공기가 중국으로부터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에서 공장을 가동할 때 날씨가 좋으면 우리나라의 미세먼지가 높아지는 것은 우연의 일치는 아닐 것 같다.

이번 시간을 통해서 미세먼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어떻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미세먼지 확인방법

미세먼지 확인방법 첫 번째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을 이용하는 것이다.

포털사이트로 접속한 후 ‘미세먼지’라고 검색을 하면 각 포털사이트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상세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에서 ‘미세먼지’를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대기오염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에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오존, 황사와 관련된 정보들이 담겨져 있다. 또한 현재, 내일, 모레, 주간 등의 기간을 나누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명확하고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주요 국가의 미세먼지 환경기준도 확인할 수 있는데, 한국의 미세먼지 기준환경기준은 일평균 100㎍/m³ 이고, 미국은 150㎍/m³, WHO는 50㎍/m³으로 나라와 단체별로 기준이 조금씩은 다르다.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검색된 정보는 우리가 마스크를 쓰고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준다.

미세먼지를 확인할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은 에어코리아라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에어코리아 : https://www.airkorea.or.kr/

에어코리아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대기환경정보실시간공개시스템으로, 측정망 종류로는 도시대기 측정망, 국가배경농도(도서)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항만대기 측정망 등이 있고, 공개대상 항목은 아황산가스 – SO2, 일산화탄소 – CO, 이산화질소 – NO2, 오존 – O3, PM-10 ,PM-2.5 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실시간 자료조회 > 실시간 대기정보 > 우리동네 대기정보를 통해서 내가 사는 동네 등 지역별로 관련 항목들을 검색할 수 있다.

실시간 자료조회 > 실시간 대기정보 > 우리학교 주변 대기정보, 국가산단주변 미세먼지 정보 등의 테마를 통하여 각각 테마에 맞는 세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정보 예보/경보 > 오늘/내일/모레 대기정보 테마에서는 각각 시기별 대기질 농도전망을 대한민국 전역으로 시각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 외에도 미세먼지와 관련된 각종 통계정보와 용어들에 대한 설명도 홈페이지에서 클릭 몇 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위치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해주는 다른 사이트도 확인해보시기 바란다.

공장 정보 찾는 방법(사이트) : 아이팩토리허브

위치 정보 찾는 방법(사이트) : 오딘데

미세먼지는 없을수록 좋다. 이번 시간에는 미세먼지 확인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지만, 근본적으로 우리 삶에서 미세먼지가 사라질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댓글 남기기